사설>


1979년 10.26사태로 박정희대통령이 서거하고 유신체제가 붕괴되었다. 이후 한국의 정세는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과 함께 격변의 시기로 들어섰다. 억압받은 민주주의의 분출은 집권세력을 위협하며 확대되었다. 그러나 12.12사태를 계기로 신군부는 분명한 정치일정을 밝히지 않은 채 권력 기반을 구축하고 있었다. 이에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한 국민적 저항이 일어났으며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전두환으로 대표되는 신군부는 권력 장악을 위해 국민의 저항에 군사적으로 대응, 긴장감을 높이고 민주인사에 대한 체포와 투옥을 감행했다.
신군부의 계획은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시민들의 저항에 부딪혔고 군의 무리한 진압작전이 강행되었다. 당시 신군부는 광주민주화운동이 김대중의 배후 조정에 의한 계획된 무장봉기에 의해 촉발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광주민주화운동은 무력진압(작전명 화려한 휴가)의 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시민의 분노도 함께 커지면서 자연스레 발전한 시민 저항 운동이다.
당시 고교생과 대학생 등 200여명의 사망자를 포함해 약 3000여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 광주민주화운동은 유신체제의 대외 의존적이며 성장일변도의 경제정책과 경직된 정치구조 속에서, 누적된 시민의 불만이 10.26사태를 거치면서 5.17 비상계엄확대조치를 계기로 폭발한 것이다.
올해는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지 30년이 되는 해다. 그 동안 전두환, 노태우 전대통령을 비롯 정호용, 박준병, 이희성 등 구테타와 발포의 주역들은 역사의 단죄를 피해가지 못하고 수감되었다. 이들은 모두 2년여의 수감생활 후 사면되어 정상적인 삶을 살고 있다. 그러나 재판과 수감을 통해서도 이들이 잘못을 인정 했다거나, 시민들에게 발포명령을 한사람이 누구인지도 밝혀내지 못했다. 그들은 한결같이 기억이 흐려졌다거나 명령을 이행했을 뿐이라며 회피했다.
당시의 처절했던 저항운동에 참여하여 죽거나 다친 사람들은 이제 5차에 걸친 조사를 통해 보상을 받았고, 망월동 묘지는 민주주의 상징으로 남아 외관상의 상처는 봉합되었으나 아직도 그들의 가슴에 남아 있는 아픔을 치유하기엔 많은 세월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광주민주화운동은 깨어있는 민중이 민주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음을 재확인하는 계기였으며, 민주화와 민족의 자주통일, 평등을 향한 사회운동의 전환점이 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 5공화국과 정권의 부도덕성을 드러낸 증거가 되기도 했다.
30년째를 맞는 지금 5.18 광주민주화운동은 저항과 단죄를 넘어 우리 모두가 그 정신을 계승,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