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전문기자 김종서

해양 전문가들은 ‘당진항의 미래가 당진시의 미래를 결정한다’고 당진항만이 국제항만으로 발전할 수 있는 중장기 사업계획을 수립, 추진해 나갈 것을 주문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당진항에는 13개의 부두가 개발을 완료했으나 그 가운데 현대제철 안에 있는 하나의 공용부두 말고는 전부 (기업)전용부두이다. 그래서 당진항은 일반 여객과 물류를 수송할 수 없고 당진경제 발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
평택항에는 이미 항만 관련 산업은 항만하역업, 항만용역업, 예선업, 컨테이너 수리업, 물품 공급업 등 9개 업종들이 입주해 성황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컨테이너 부두가 없는 당진항의 경우 컨테이너 관련 사업을 하는 기업은 아예 없고 다만 항만용역업체가 5곳, 항만하역업의 경우 5곳, 선박대리점 4곳, 물품 공급업 및 검수사업을 하는 곳이 1곳이 있을 뿐이다.
결과적으로 당진시는 천혜의 항만을 갖고 있는데 공용부두 하나 설치하지 못하고 배후 물류단지조차 조성하지 못하면서 천혜의 당진항만을 쓸모없게 만든 책임조차도 아무도 지지 않는다.

당진항은 산으로 외워 싸고 수심이 평균 14m이어서 큰 화물선 왕래가 자유로운 천혜의 항만이라고 한다. 이에 반해 인천항은 수심이 5m에 불과하여 갑문식 도크항을 운영하고 있어 화물운송에 2, 3시간을 대기하여야 하는 고비용, 저효율적인 항만이다. 따라서 수도권 수출입물량의 70%가 부산항에서 처리되고 있는데 이는 당진 평택항이 성장해 나갈 수 있는 잠재력이 될 수 있다.
최근 부두별 임대비용을 1평방미터당 비교해 보면 인천은 1,700원인데 반해 부산항은 300원, 광양항은 200원이다. 그렇지만 당진 평택항은 물류단지가 제대로 조성되지 않아 현재 1평방미터 당 700원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대규모 물류단지가 조성된다면 임대비용도 광양항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어 부산으로 내려갔던 대부분 수도권의 무역물동량을 당진평택항에서 처리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더욱이 평택 당진항은 우리나라 인구와 지역 내 총 생산의 65%를 차지하는 수도권 및 중부권을 배후에 둔 시장의 관문항이다. 수도권 및 중부권 387개 산업단지와 인접해 있는 것은 물론 3개 고속도로, 6개국도가 교차하는 육상교통의 요충지이다. 특히 지리적으로 중국 연안산업밸트와 최단거리를 확보하고 있어 해상운송시간이 단축되는 등 중국교역의 최적 전초기지라 할 수 있다.
평택항의 배후단지는 체계적인계획 아래 녹지 및 종합하수처리시설 확보 등 저탄소 녹색성장항만 실현과 자유무역지역 지정을 통한 부가가치, 고용창출 등을 목표로 2020년까지 전체 규모 1백만평의 단계별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는 1단계 사업이 완료된 가운데 2020년 완공을 목표로 임시 야적장, 복합 물류운송단지, 물류시설, 지원시설 등 종합물류클러스터가 조성되고 있다. 2단계 조성사업이 완료되면 79개 선석이 개발되면 연간 1억 6천만톤의 하역능력을 갖춘 국제적 대형항만으로 동북아의 경제허브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당진시는 평택매립지 절대사수만을 부르짖으면서 참으로 답답할 노릇이다.

2015년, 충남 홍성에서 경기 화성까지 철도로 연결하는 서해안 복선전철이 착공되었다. 이는 2020년까지 3조 8,280억 원이 투입하여 충남 홍성에서 경기도 안성을 연결, 서울까지 53분 거리로 단축된다. 한편 2016년 6월, 국토교통부는 서해선 복선전철 당진 합덕역과 석문국가산업단지를 연결하는 아산석문 산단선의 총 연장은 36.5km에 소요 사업비는 6,991억 원에 달하는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2016∼2025)’을 최종 확정하였다. 이에 따라서 당진의 철도시대가 열리게 되는데
당진항은 수도권 물류단지로써 아무런 역할도 못하고 있으니 당진경제의 미래가 걱정이 된다. 
선거철이 되면 평택매립지 절대사수에 대한 후보들의 공적을 내세워 표심을 자극하고 있다. 그렇지만 당진시가 평택매립지 절대사수를 부르짖는다고 해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란다. 즉 법률전문가들은 “당진시가 주장하는 기득권이란 평택시와 도계분쟁에서 헌법재판소에서의 승소판결한 것인데 이것이 평택매립지와 연계관계가 있다는 주장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평가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당진시민들은 평택매립지 절대사수를 주장하면 당진경제가 되살아 낼 수 있다고 믿고 있으니 걱정이 된다.
진정으로 당진경제를 되살려 내겠다면 당진항, 평택항, 대산항을 분리시켜 독자적인 항만건설을 주장하기보다는 이를 포괄하는 황해무역항으로 국제경쟁력을 갖춰 나가는데 초점을 맞춰 당진항만을 국제적인 시설수준으로 향상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당진시가 국내 최고의 환경오염지역이라는 오명을 갖게 된 것은 중앙정부의 책임이 크다. 어떻게 제철단지, 화력발전단지(태안화력 포함), 대산 석유화학단지 등 오염업종 3종 세트를 집중적으로 입주시켜 수도권 대기오염의 28%에 해당되는 환경오염원을 만들어 놓았는가? 그렇지만 국가의 경제정책이란 산업정책 위주로 이뤄지고 당진시 산업단지나 환경문제를 해결해 나갈 여유를 갖고 있지 않다. 그래서 당진시민들이 나서서 당진항만, 당진산업단지, 당진 환경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정치이슈화하여 추진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그래서 당진시는 당진시민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다함께 참여하는 열린 플랫폼을 구축하여 민관거버넌스체제로 당진시의 미래를 만들어 나갈 때 당면과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