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성당의 상징성을 언급한다는 것은 새삼스럽고도 전혀 불필요한 일이 된다. 모르는 이 없고, 인정하지 않는 이가 없기 때문이다.


70년대를 견뎌내고 80년대를 거쳐오면서 그 암울했던 시절에 명동성당은 권력으로부터 핍박받는 이들의 피난처였다. 명동성당은 유신의 독재정권 시대나 군사정권 시대에 민주와 자유를 부르짖던 이들이 쫓기다 마지막에 찾아들어 보호받을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었다. 그래서 국민들은 그곳을 도피성(逃避城)으로 여겨 아무도 이의를 달지 않았다. 종교적 성역뿐 아니라 독재의 부당한 권력과 횡포로부터 자유와 민주를 보호하는 보호막이고 성역이었다.


자유와 민주를 보호하기 위하여 독재정권과 군사정권 등 부당한 권력들과 맞서는 명동성당을 바라보는 국민들은 박수와 함께 훼손의 우려에 발을 동동 구르기도 했었다.
그 시절을 견뎌내면서 수많은 희생과 노력들이 뭉쳐 민주화를 이루어 내었다. 그리하여 문민정부가 들어섰고, 국민의 정부로 정권교체를 하고, 참여정부를 거쳐 이명박정부로 정권교체를 하기까지 민주주의로의 장족의 발전을 해왔다.


이제 세상도 바뀌었다. 독재나 군사정권 시절같은 자유를 억압하고 인권을 유린하는 사태는 사라져갔다. 그와 함께 명동성당도 이제는 종교의 성지로서 남아 있어야 한다.
그런데 아직도 착각에 빠져 있거나 그릇된 인식을 가진 이들이 있다. 명동성당을 사회적 이슈의 바람몰이를 위한 공간으로 삼으려하는 이들이 그들이다. 이제는 더 이상 명동성당을 정쟁이나 사회적 이슈의 바람이나 방패의 도구로 삼으려 해서는 안 된다. 명동성당을 종교인 신자들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용산 살인진압 범국민 대책위원회’가 명동성당 안에서 사흘간 철야 시국농성을 하려했으나 명동성당측이 거절하였다고 한다. 이 거절 방침은 명동성당 사목(司牧) 협의회 회장단 회의에서 결정되었다고 한다. 정치 사회문제에 관한 시위는 국회 등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곳에서 하라는 뜻이라고 한다. 당연한 결정이다.


이제는 더 이상 종교가 정치나 사회문제에 개입하거나 주도를 해서는 안 된다. 지금은 자유가 제한되고 억압받던 군부독재시대가 아니다. 민주회복을 위해, 자유를 되찾기 위해, 국민의 생존을 지키기 위해 나서고 국민적 이해와 지지를 받던 이전의 역할을 착각하지 말 일이다.
명동성당으로 어떤 반사이득이나 얻어 보겠다는 얄팍한 수단 따위를 부릴 생각은 버려야 한다. 명동성당의 역할은 끝났다. 이제는 종교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