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용길 한국노벨과학문화연구원장

성용길 한국노벨과학문화연구원 원장. ⓒ당진신문
성용길 한국노벨과학문화연구원 원장. ⓒ당진신문

노벨물리학상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 ‘양자컴퓨터의 탄생’

1901년에서 2022년 현재까지 총 118개의 노벨물리학상이 수여되는 동안 여러 가지 다양한 흥미로운 사실들이 쌓여있다. 절반 이상의 노벨물리학상이 2명의 복수 물리학자들에게 수여되었다. 

한편, 존 바딘(John Bardeen)교수의 경우는 노벨물리학상을 두 번이나 수상하는 영광을 차지했다. 최연소 물리학상 수상자로는 로렌스 브래그(Lawrence Bragg)경으로 그의 나이 25세에 그의 아버지 윌리엄 브래그(William Bragg)경과 함께 1915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리고 가장 나이가 많은 수상자는 아서 애스킨(Arthur Ashkin)교수로 그의 나이 96세에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작년에는 큰 이변이 없었다. 노벨왕립 스웨덴 과학한림원은 2022년 노벨물리학상이 양자 얽힘을 연구한 프랑스 알랭 아스페(Alain Aspect)교수, 미국의 존 프랜시스 클라우저(John Francis Clauser)교수, 그리고 오스트리아의 안톤 차일링거(Anton Zeilinger)교수 등 3인에게 공동수상으로 돌아갔다. 

양자 얽힘이란?
양자 얽힘은 두 부분 계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비고전적인 상관관계를 일컫는데, 위 양자 얽힘이 놀라운 이유는 두 부분 계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존재할 수 있는 신비한 현상이기 때문이다. 양자 얽힘 현상은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닐스 보어(Bohr)와 아인슈타인(Einstein)의 논쟁으로부터 시작된다. 

당시 코펜하겐포럼 해석의 주요 내용이자 양자역학의 기본적 원리인 양자 중첩은 관측되기 이전의 전자는 확률적으로 존재 가능한 모든 위치에 동시에 존재한다. 그리고 서로 간섭하는 파동처럼 행동하며 관측되는 순간 하나의 위치로 결정되며 입자처럼 행동한다고 했다. 

또한, 양자 얽힘은 말 그대로 양자 물질들이 서로 얽혀있는 현상으로 두 개의 양자 물질이 있다. 그리고 두 상태가 동시에 중첩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두 물질은 서로 “얽혀”있는데 두 물질은 항상 반대되는 다른 방식으로 얽혀 있음을 의미한다. 

즉, 하나의 양자 상태를 결정하면 다른 하나의 양자 상태 또한 동시에 결정되는 것을 뜻하며 미시 세계에서 두 가지 이상의 양자 상태가 공존하는 현상임을 뜻한다.

아인슈타인은 이러한 양자 얽힘이 빛보다 빠른 무엇인가를 의미한다고 해석하며, 광속을 넘어서는 정보의 전달은 특수상대성이론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아인슈타인은 이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마치 유령과도 같은 현상이라고 칭하며 이를 부정한다고 주장했다. 

아인슈타인, 포돌스키, 로젠은 양자역학의 가설에 반대하며, 이 정보가 빛보다 빠르게 전달되어 다른 양자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들은 동시에 양자상태를 결정하는 어느 시점에서의 ‘숨은 변수’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물론 양자 얽힘을 통해서 유의미한 정보가 전달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양자 얽힘도 특수상대성이론에 위배되지 않는다. 양자 얽힘의 오류를 밝히기 위해서 고안된 벨 부등식, 결국 양자 얽힘이 맞음을 증명해 냈다.

이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서 영국의 물리학자 존 스튜어트 벨 교수(Prof. John Stewart Bel)는 이러한 ‘숨은 변수’를 증명할 수 있는 실험을 고안했다. 숨은 변수의 존재를 증명해내기 위해 벨 교수는 양자역학이 틀렸음을 증명하기 위해 이러한 이론을 내세우게 되었다. 벨 교수는 스핀 상태가 서로 얽혀 있는 두 전자를 가정했을 때, 각 전자를 관측하여 결과 값이 어느 정도 서로 상관이 있는지를 수치화한 상관함수를 고안해내 숨은 변수가 존재한다면, 벨 부등식(Bell’s Inequality)을 만족해야 함을 보여주었다. 

즉, 숨은 변수가 있는 경우 많은 수의 측정결과 그 상관관계가 특정 값을 초과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는 부등식이다. 1960년대 후반부터 수많은 물리학자들은 서로 경쟁을 하며 벨 부등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시도하였다. 첫 시작은 클라우저 교수가 양자 얽힘이 맞았음을 증명하게 되었다. 하지만 실험에서 약점을 발견해 낸 아스페 교수는 또 다른 새로운 실험을 고안하게 된다.   

그는 칼슘 원자를 레이저로 주사한 뒤 같은 광자를 만들어 낸 다음, 각각의 광자를 반대 방향에 위치한 두 개의 편광 필터에 통과시켜서 감지기에서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는 네 개의 편광을 측정하는 실험을 고안해냈다. 

이들의 초기의 실험들은 그 실험결과가 또 한 번 벨 부등식이 맞지 않고 양자역학이 맞음을 증명해냈다. 이에 다시 여러 과학자들은 그동안의 여러 실험의 약점을 보완하며 다시 한 번 실험을 수행했는데, 이 또한 결국 양자역학이 맞는다는 결론을 내놓으며 양자역학의 승리를 증명하게 되었다. 

즉, 양자상태를 결정하는 숨은 변수는 없음이 증명되며, 양자역학을 부정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벨 부등식은 역설적으로 양자역학을 증명해내는 강력한 도구가 된 셈이다.

1999년 차일링거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 역시 거시적인 세계에서 양자현상을 밝혀내는 실험에 성공하게 되었다. 특히, 원자 60개를 가진 탄소 분자를 이용하여 이중슬릿 실험을 구현하며 간섭무늬를 관측한 실험은 전자나 광자에 비해서 규모가 매우 큰 탄소 분자를 이용하여 거시적인 세계에서 양자 간섭을 부분적으로 관측한 결과로 유명하게 되었다.

양자 얽힘에 관한 개념도 ⓒJohan Jarnestad/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노벨재단)인용.
양자 얽힘에 관한 개념도 ⓒJohan Jarnestad/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노벨재단)인용.

이들의 실험 연구가 노벨물리학상에 선정된 이유

이번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3명은 벨 부등식을 검증하는 수많은 실험을 고안하며, 결국 양자역학이 맞았음을 증명해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새로운 양자 정보기술 및 새로운 물리학 분야를 개척해 낸 선구적 공로를 인정받게 되었다. 

이들은 실험을 통해서 양자 얽힘이 맞았음을 증명했으며, 그 결과를 기반으로 수많은 응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차일링거 교수는 더욱 정교한 도구와 여러 실험을 통해서 양자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입자가 멀리 떨어진 입자로 이동할 수 있는 양자 순간이동 현상을 시연해 냈다. 

그리고 양자 얽힘을 이용하여 양자 밀도 코딩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고전 물리학에서는 불가능한 원시성을 입증해냈다. 양자 얽힘 현상을 기반으로 양자 암호실험도 구현해냈다. 수많은 응용 결과를 기반으로 보다 고차원 상태를 구현하는 양자통신을 실현하며, 현재 양자컴퓨터, 양자 네트워크 및 보안 양자암호화 통신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양자연구 분야의 개척자로 평가받게 되었다. 

노벨물리학상 심사위원회 의장인 이론물리학자 앤더스 이르백 교수(Prof. Anders Irback)는 이들의 연구로 인해서 새로운 종류의 양자컴퓨터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리고 양자역학의 해석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넘어선 양자 얽힘에 대한 노벨상 수상이 매우 중요한 의미라는 점을 강조했다.


성용길 교수

미국 University of Utah, Ph.D.
동국대 이과대학장, 명예교수(현)
한국노벨과학문화연구원 원장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당진 #당진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