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니스트 강정의

고대면 출신, 당진중 8회, 고려대 교육대학원 졸업. ‘허 허 참, 속으며 사는줄 모른다’의 저자. ⓒ당진신문DB
고대면 출신, 당진중 8회, 고려대 교육대학원 졸업. ‘허 허 참, 속으며 사는줄 모른다’의 저자. ⓒ당진신문DB

지금 변하고 있음을 보는 시간이 깨달음의 기회이고 장소입니다. 모든 모습들이 덧없이 지나가고 변하는 이치가 진리이며 그러한 진리를 아는 것을 깨달음이라고 합니다. 하루가 훌쩍 지나가고 한달이 빠르게 달아나며 사람들이 한세상 살다가 허망하게 사라지는게 인생무상(人生無常)의 진리이며, 삼라만상이 변하고 있는 이치가 제행(諸行)이 무상(無常)한 진리입니다.

모든것들이 다 한때이고 덧없이 지나가는 무상함의 이치를 무상법(無常法)이라 하고 무상법을 알고 사는 이를 깨달은 사람이라고 합니다.

진리란 자연의 섭리로 자연(自然)이란 뜻은 스스로 그러하다는 말이며 무엇이 그러하냐면 모든것들은  다 변하고있는  그렇고그런 여여(如如)한  존재들이라는 것입니다.

변함·무상(無常)함·덧없음 연기(緣起)·진리·타타타(tatata)·여여(如如)·공(空)·자연이라는 말들은 말은 다르지만 모든 것들은 다 변하는 존재다라는 본래의 뜻은 같습니다.

깨달으면 모든 것들은 다 고정된 것들이 아닌 변하는 연기하는 존재로  보며 인간의 삶과 죽음도 자연의 법에 따라 변하고 바뀐다고 봅니다. 이렇게 보는 생사관을 변역생사(變易生死)관이라고 합니다. 구름이 비가 되는 것을 죽음이라고 보지 않고, 봄여름가을겨울 사철이 죽고 태어난다고 보지 않고 모두 인연에 따라 변한다는 생사관입니다. 

인연에 따라 나타났다가 머물다가 인연이 다하면 바뀌고 지나가는게 자연의 모습들입니다. 삼라만상 모든 모습들은 다 변하는 몸이기에 진리의 몸인 당체(當體)들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모든 것들은 다 진리를 나타내 보이고 있는 현현(顯現)한 것들입니다. 우리는 늘 변함의 세상에 살고 있기에 진리와 함께 하고 있습니다.

진리를 표현한 말들

금강경(金綱經)에 일체유위법(一切有爲法)은 여몽환포영(如夢幻泡影)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가 보고 있다고 하는 모든 것들은 꿈과 같고 허깨비 같으며 물거품 같고 그림자와 같다는 말입니다. 성서의 전도서 1장2절에 ‘헛되고 헛되며 헛되고 헛되니 모든것이 헛되도다’라는 말이 그런 의미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모두 변함의 이치인 진리를 표현한 말들입니다

-살다보면 알게 돼. 일러주지 않아도 너나 나나 모두 다 어리석다는 것을 잠시 왔다가는 인생 모두 꿈이었다는 것을-

나훈아가 부른 공 노래의 한 구절도 진리가 담겨있습니다. 우리의 마음 역시 심원의마(心猿意馬)라고 하여 마치 원숭이가 이 나무에서 저 나무로 옮겨다니고 말이 뛰는 것처럼 순간순간 바뀌고 있습니다. 
   
중생심(衆生心)과 지혜(智慧)

깨닫기 전의 중생심은 깨달은 후에는 지혜로 바뀌는데 이를 전식득지(轉識得智)라고 합니다. 흔히 행복하다는 말들을 하는데 진정한 행복은 깨달은 마음으로 사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물론 깨닫지 않고도 얼마든지 행복하다는 말을 할 수가 있습니다.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는 말은 모두 다 자신의 생각이 만들어 낸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깨달은 사람의 행복과 깨닫지 못한 사람이 생각하는 행복이 다르고 또한 깨닫기 전의 행복은 깨달은 후에는 그것이 진실한 행복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중생들의 행복은 무엇을 구하고 채우는 것에 있다면 깨달은 사람들의 행복은 비움에서 오는 여유와 스스로 만족(滿足)하는 것에서 행복을 느낍니다. 법정스님이 생전에 말씀한 텅빈 충만(充滿)이 그러한 뜻이라고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잘못된 생각을 갖고 잘 산다든가 또는 행복하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잘못된  삶과 잘못된 행복이라고 보면 좋습니다. 진리에 따른  바른 생각인 정견(正見)으로 사는  삶과  행복이 중요하다는 말입니다.

잘못된 잣대로 정확히 재면 그 결과는 아주 정확하게 틀리는 이치와 같습니다. 어리석은 사람의 정확한 판단은 정확하게 어리석은 생각입니다.

수덕사에서 뵌 일엽스님의 모습

깨달은 사람은 극단적이고 분별적인 말을 되도록 하지 않습니다. 아주 좋다와 싫다는 말, 제일 행복하다든가 불행하다는 말, 깨달은 사람은 모든 것들은 다 그때그때 변하고 바뀐다는  진리를 알고 있기 때문에 크다 작다라든가, 길다와 짧다는 등의 양변에 집착하지 않고 늘 상황에 따라 길기도하고 또 짧게도 변한다는 중도(中道)적인 생각을 갖고 살아갑니다.

말이 없는 말과 함이 없는 함이 있습니다. 유마거사의 침묵은 말이 없는 말을 한 유명한 법문이었으며, 1950년대 후반 필자가 당진중학교 3학년때 예산 수덕사로 트럭을 타고 단체 소풍을 간적이 있었는데 그때 절로 올라가는 길에서 우연히 '청춘을 불사르고'의 저자인 일엽(一葉)스님을 뵌 적이 있습니다. 

반갑게 손을 들어 학생들을 맞아주시던 스님의 온화하신 모습에서 수행자가 풍기는 무언지 모를 깨달음의 울림을 느꼈습니다. 그후 그 울림이 각인되어 잊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윤회의 삶과 공업(共業)

세상을 살아가면서 진리를 깨닫지 못하고 잘못된 생각인 업(業)이 반복되어 윤회를 거듭하며 사는 사람들을 중생(衆生)들이라고 합니다. 윤회(輪回)란 사람이 죽으면 소나 말로 태어나고 또 다시 인간으로 환생(換生)한다는 그런 뜻도 있지만 윤회의 삶이란 진리를 깨닫지  못한 중생들이 잘못된 업(業)을 계속지음으로 그 결과 번뇌가 끊이질 않는 업보(業報)를 받는 삶이라고 이해를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깨닫지 못하고 집착하는 윤회의 삶을 살게 되면 늘 고통이 끊일 날이 없습니다. 

평소에 술과 담배를 즐기던 사람이 건강을 위해 그 습관을 끊는 것이 윤회를 끊는 삶이고, 뱃살을 빼기 위해 다이어트를 하다가 실패를 거듭하는 삶이 업에 의해 윤회를 끊지 못하는 예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또 다른 차원으로 생각해봐야 할 것은 고통은 개인의 잘못에서 대부분 오지만 개인과 인연이 된 공동체의 잘못인 공업(共業)이 사람들에게는 물론 자연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입니다. 

그와 같은 공업에 대하여도 깨달은 사람은 나와 한 몸이라는 동체대비(同體大悲)의 정신으로 포용(包容)하는 마음을 갖고 공업에 대처를 합니다. 요즈음 전 세계적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코로나의 공업에 대해 나와 이웃을 위해 마스크를 반드시 쓰고 다녀야겠다는 생각은 공업의 윤회를 끊어야겠다는 생각에서 나옵니다.

깨달으면 자신의 업은 물론 공동체가 짖는 공업인 기후변화·환경오염등의 문제들에 대하여 자신과 직결된 문제라는 생각을 갖고 생활을 합니다. 이러한 생각을 대승적(大承的)인 생각이라고하며 깨달으면 그런 마음으로 변합니다.

번뇌(煩惱)를 일으키는 중생들의 근본적인 중생병은 여섯가지로 삼독심(三毒心)인 탐(貪.욕심)  진(嗔·성냄) 치(痴·진리를 모르는 어리석음)의 세가지와 그외 세 가지인 만(慢·내가 누군데 하는 거만함) 의(疑·인과응보에 대한 의심) 악견(惡見·덧없고 무상함 즉 진리를 모르는 잘못된  생각)들이 근본적인 여섯가지의 번뇌를 일으키는 유루심(有漏心)들입니다

물이 흐르는 호스에 흠이 생기면 그곳으로 물이 새는 것처럼 우리의 마음도 흠이 있으면 번뇌(煩惱)가 생깁니다. 그  새는 마음을 유루심(有漏心)이라고 합니다. 내가 누군데라는 아만(我慢)은 번뇌를 야기하는 근본으로 허세(虛勢)와 관심을 받고 싶어 하는 마음으로 요즈음 말로 관심종자인 관종(關種)들의 모습들입니다. 

자기를 나타내고 싶어하는 마음은 번뇌를 가져 온다는 것을 모르는 어리석음에서 나오는 생각들이라고 말한다면 틀린말이 아닙니다. 깨닫는 좋은 방법은 깨달음을 위한 좋은 글을 보는 것과  훌륭한 스승을 만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내가 누군데라는 생각 즉, 아상이 많은 사람은 남들이 말을 안해서 그렇지 어딘지 모르게 사람들에게 부담이 가는 사람입니다. 진짜 도인은 도인의 티를 내지 않으며 깨닫지 못한 사람이 깨달은 체 하며 우쭐대는 사람을  증상만(增上慢)이라고 하여 수행자들은 이를 늘 경계하며 살아갑니다.

중생들은 괴로움의 생활이 왜 연속되어 찾아오는지 자신도 모르고 살아갑니다. 깨달으면 괴로움은 진리를 깨닫지 못한 집착에서 온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중생들이 겪는 괴로움의 연속은  모든 것들이 변한다는 진리를 깨닫지 못했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이를 윤회(輪廻)하는 삶이라고 합니다

마치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시지프스의 삶이 힘들게 돌을 굴려 산꼭대기까지 올려다놓으면 또 금방 돌이 산 아래로 굴러 떨어지는 일을 계속 반복하는 것처럼 괴로움이 끊임없이 자기앞에 다가오는 삶은 어리석음의 생각이 끊이지 않아 고통이 연속되는 윤회를 벗어나지 못하는 생활을 하기 때문입니다.

세상 일 다 그런것이여

지금 있는 곳이 깨달음의 장소이고 살아가는 순간순간이 깨달음의 기회입니다. ‘허. 허. 이 해도 덧없이 지나가는구나‘라고 생각하는 그 이 순간과 이 자리가 바로 깨달음의 순간이고 깨달음의 자리입니다.

모든 것들은 찰나 변하고 새로워지기 때문에 언제 어느곳이나 깨달음의 기회이고 장소입니다. 무엇을 볼 때 잘 보면 고정되어 있는 실체가 아니고 늘 변하고 있는 모습이라고 보는 것을 바른 생각으로 보는 정견(正見)이라고 합니다. 지혜와 정견은 같은 의미입니다. 진리란 좋은 것도 아니고 또 좋지 않은것도 아닌 변하는 이치 그 자체입니다.

무심 또는 무념(無念)이란 마음이 없는 상태가 아니고 마음에 어떠한 분별심이 없는 분별 이전의 그 청정무구(淸淨無垢)한 맑고 깨끗한 마음을 말하며 필자는 이를 칸트가 말한 인식 자체인 순수이성(純粹理性)이라고 보아도 좋을 것 같다라는 생각을 합니다.

깨달은 사람은 지금 나라고 생각하는 것이 영원히 사는 나가 아니고, 잠시 한때의 덧없는 나라고 생각하고 무아(無我)의 삶을 살아갑니다. 무아(無我)의 삶이란 내가 없이 산다는 말이 아니고 나라는 실체는 순간 순간 변하기 때문에 고정된 나라는 게 없는 한때의 나, 덧없는 나라는 생각을 하고 사는 삶을 말합니다.

흔히 말하는 무소유(無所有)의 삶이라는 것도 그렇습니다. 소유를 하지 않고 산다는 것이 아니라 지금 내가 내소유라고 생각하는 것들이 다 임시이고 한때인 소유라고 생각하며 사는 삶을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잘살고 즐겁게 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어떻게 사는것이 잘 사는 것이고 즐겁게 사는 것인가를 바르게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리를 깨달으면 마음이 편하고 마음의 편함에서 오는 기쁨이 있습니다. 그러한 진리의 법을 깨달았을때 오는 기쁨을 법열(法悅)이라고 합니다. 깨닫지 못한 사람의 즐거움과 행복은 어리석은 즐거움이요. 어리석은 행복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대개 무엇을 볼 때 참 모습인 실상(實相)을 바로 보지 못하고 임시인 모습을  보고 진짜인 모습이라고 착각을 하고 살아갑니다. 사람들이 눈에 보이는 모습들은 참 모습이 아닌 찰라찰라 변하는 지나가는 모습인 가상(假相)들입니다. 

참 모습인 실상(實相)은 순간순간 변하기에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늘 변하기에 무상(無相)입니다. 그런 무상함을 공(空)이라고 합니다. 실상은 무상이고 공입니다. 이런 말을 이해하기가 그리 쉽지 않습니다. 평생동안 깨닫지 못하고 살았어도 죽음의 자리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들은 깨닫게 됩니다. 티벳 사람들은 죽음의 순간을 일생중 진리를 만나는 기장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고 편안한 마음으로 죽음을 맞이한다는 말을 라사에 있는 포탈라궁에 갔을 때 티벳 현지 가이드한테 들었습니다.

개선장군의 뒤에서 외치는 말

메멘토 모리(memento mori=자신의 죽음을 생각하라)는 고대 로마시대 개선장군의 시내 환영식때 장군의 바로 뒤에서 노예를 시켜 외치도록  한 말입니다. “인생이라는 것이 한 바탕 꿈과 같다는 말이 이제 이해가 되는구먼. 내가 이런 인생의 덧없음을 지금까지 모르고 살았구나!”라는 생각이 깨달음이고, 그런 생각이 떠오를 때가 깨달음의 순간입니다. 깨달으면 매일매일이 새로운 날이 되며 날마다 거듭 태어나는 삶을 삽니다.

한 해를 보내면서 깨달은 님을 축하합니다

“또 한해가 이렇게 지나가는구나 참! 인생이란 덧없고 허망하구나!” 그렇게 생각하는 그 마음이 바로 진리를 깨달은 순간입니다. 깨달음의 기회는 늘 지금 여기에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 진리를 깨달은 사람은 번뇌의 일상 윤회에서 벗어나 그 어디에도 걸림이 없이 편하게 사는 대자유(大自由)로 살게 됩니다. 모든 집착이 마음의 감옥이고, 그 집착심을 모두 비운 그 깨달음의 몸을 대자유의 몸이라 말합니다.

이해를 보내고 2023년 새해에는 깨달음의 길을 찾아 마음이 편한 삶의 복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님은 지금 그 자리에서 깨달음의 길을 보셨습니다. 참 잘 하셨습니다.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다 한때구나! 그렇다 다 덧없는 것들이구나. 진작에 그런 생각을 하였으면 그렇게 살지 않았을 텐데... 아하! 이게 깨달음이구나!”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당진 #당진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