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시, 화학사고 지역대비 체계 구축 우선 필요 지자체 지정
환경부, 당진시 1군으로 분류...종합점수 18점으로 16위
대응 빨라질까?...조례 제정, 화학사고관리위원회 구성 추진

[당진신문=배길령 기자] 환경부가 지정한 화학사고 지역대비 체계 구축이 우선 필요한 전국 지자체 60곳에 당진시가 포함됐다. 환경부의 ‘화학사고 예방·대비·대응을 위한 지역대비체계 구축 보고서’에 따르면 당진시는 1군으로 종합점수 18점. 순위는 16위를 기록했다.

종합점수는 공장 개수, 화학물질, 인구수 등 여러 가지 요소를 참고한 수치로 순위가 높을수록 급성독성, 폭발성이 강한 화학물질의 취급량, 대규모 공장의 개수가 많다는 의미다. 하지만 순위는 단순 데이터에 따라 결정됐기 때문에 순위가 높을수록 위험한 지역이라고 단정 할 수는 없다.

지자체 중 1위는 전남 여수시가 선정됐다. 충남에서는 한화토탈 유증기 유출, LG화학 탱크로리 페놀 유출 등 대산공단에서 잇따른 화학사고가 발생한 서산시가 8위로 가장 높았다.

환경부에 따르면  현재 당진시에는 45곳의 사고대비물질 취급 사업장이 있다. 이 사업장들에서는 연간 총 1409만1170톤의 사고대비물질이 취급된다. 이는 전국 평균 54만9956톤보다 훨씬 많은 양이다.

2014년부터 지난 5월까지 발생한 당진관내 화학사고는 총 5건이다. 이외에  2013년 5월 현대제철 전로 제강공장에서 보수작업을 하던 하청업체 직원 5명이 아르곤 가스에 질식해 숨진 사건이 발생하면서 충격을 줬다.

가장 최근에 일어난 화학사고도 현대제철 1고로에서 발생했다. 지난 1월 19일 발생한 사고는 작업자 부주의로 인한 유지,보수 부실로 작업자 3명이 고로가스를 흡입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핵심은 조례화와 화학사고관리위원회
당진은 인근 서산, 천안, 아산과 달리 조례는 물론 안전관리위원회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역 내 화학물질을 관리하고 화학사고를 대비할 수 있는 행정력이 없어 관내 화학물질에 대한 관리가 부실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유출사고 대응과정에 장시간이 소요되거나 상황 전파조차 이뤄지지 않는 등 허점이 드러난 상황. 지난해 10월 발생한 당진화력의 옥내저탄장 발화사고 때에도 일산화탄소 등 유해가스가 발생해 인근 주민들이 두통과 메스꺼움을 호소했지만 발전소 측에서 이 사실을 알리지 않아 원성을 산 바 있다.


이번 환경부의 지정으로 향후 당진의 주민들은 사고 발생 전 우리 동네 공장에서 어떤 화학물질을 취급하고 있고, 그 물질들은 사고가 났을 경우 어느 정도로 위해한지를 알 수 있다. 화학사고 지역대비체계의 핵심은 ‘조례 제정’과 ‘화학사고관리위원회’ 구성이다. 화학사고관리위원회는 지자체와 기업, 시민사회와 전문가 등이 정기적으로 모여 화학물질을 공동 관리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환경부는 우선 1군 지역부터 화학사고 지역대비체계 우선 구축지역으로 분류해 전국네트워크 참여 및 지역대비체계 구축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화학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당진시는 환경부(화학물질 안전원)가 제공하는 사고물질정보·영향예측범위 등의 자료를 토대로 인근 주민에게 사고 상황을 신속하게 전파하고, 주민대피명령을 내리는 역할을 직접 담당할 수 있게 된다.

당진시청 환경정책과 환경감시팀 최진영 주무관은 “현재 조례는 1차 법무심사 단계로 조례가 시의회에 상정되고 조례 공포 후 내년 쯤 시행이 될 것 같다”며 “서산이 주로 석유화학이듯 당진은 금속 관련이어서 각 지역마다 특색에 따라 환경부에서도 참고해서 세부적으로 대응계획을 구축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당진환경운동연합 유종준 사무국장은 “당진은 산단이 많고 공장도 많다. 철저한 안전관리가 지켜지지 않을 때 언제든지 구미 불산 사고와 같은 화학사고의 위험은 산재하고 있다”며 “조례제정도 중요하지만 주민안전과 화학물질의 안전한 처리에 대응을 할 수 있는 매뉴얼은 꼭 필요하다. 당진시가 조기에 화학물질의 현황을 파악하고 안전관리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