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재 현 / ER미디어 대전, 충남 본부장

 


올해 88세의 안병욱 교수님이 1988년 1월 25일에 쓰신 “내 생(生)의 거울 앞에서”란 저서를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
구약성경에 의하면, 옛날 소돔성과 고모라성은 의인(義人) 열사람이 없어서 망하고 말았다. 의가 없으면 나라가 망한다. 의는 사회의 기강(紀綱)이요, 나라의 기둥이다.


의가 무너진다는 것은 사회의 기강이 무너지는 것이요, 의가 선다는 것은 나라의 기강이 바로 서는 것이다. 논어(論語)는 특히 인(仁)과 의(義)를 강조했다. 인의는 유교사상(儒敎思想)의 근간을 이룬다.
군자는 의에 밝은 사람이다. 의를 인생의 제일의(第一義)로 삼고 행동의 근본으로 삼았다. 그는 이(利)를 버리고 의를 취했다.


사리취의(捨利取義)가 군자의 행동원리다. 군자의 주안점은 이(利)에 있지 않고 의(義)에 있다. 내게 이로우냐 이롭지 아니하냐가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그 일이 옳으냐 옳지 아니하냐가 중요하다. 돈이나 이익을 행동기준으로 삼는 것이 소인이요, 의와 옳은 것을 행동기준으로 삼는 것이 군자다. 그래서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군자는 의를 바탕으로 삼는다(君子義以爲質)’고 하였다.


<논어> 헌문편(憲問篇)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어느 날 공자의 제자인 자로(子路)가 스승인 공자에게 물었다.
“선생님, 완성한 인물이란 어떤 사람입니까?” 그때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이(利)를 보면 의(義)를 생각하고, 위태로운 사태에 처했을 때에는 생명을 바치며, 오래 전에 약속했던 일을 평생 동안 잊어버리지 않고 실천한다면, 그는 완성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견이사의 견위수명 구요불망평, 생지언 역가이위성인의(見利思義 見危授命 久要不忘平, 生之言 亦可以爲成人矣)” 의로운 인간이 되려면 용기(勇氣)가 있어야 한다.


명예를 수호하려면 용기의 덕을 간직해야 한다. 용기란 무엇이냐? 용기는 용맹스러운 기운이다.
용기는 씩씩한 것이요, 두려움이 없는 것이요, 적극적인 것이요, 진취적인 것이요, 활발한 것이요, 모험적인 것이요, 힘찬 것이요, 대담한 것이요, 정정당당한 것이다.


고난(苦難)을 극복하는 것도 용기요, 시련을 이기는 것도 용기요, 역경을 견디는 것도 용기요, 목표를 향하여 꾸준히 노력하는 것도 용기요, 자기의 신념(信念)을 관철(貫徹)하는 것도 용기요, 자기의 원칙과 지조를 지키는 것도 용기요, 자기의 의무를 완수하는 것도 용기요, 신용과 면목을 지키는 것도 용기요, 명예를 수호하는 것도 용기요, 옳은 것을 옳다고 하고 그릇된 것을 그릇 되다고 말하는 것도 용기요, 내가 나하고 싸워 이기는 것도 용기요, 어려움을 인내(忍耐)하는 것도 용기다.


그 어느 때보다 참 많은 용기가 필요한 때이다. 그러나 용기를 내기란 말처럼 그렇게 쉽지만은 않은 일이다. 침묵(沈默)하는 다수라는 그 지성(知性)을 보면서 갖는 느낌이 그렇다.
옳은 것을 옳다고 외쳐야 할 때에 침묵하는 지성은 지성이라 할 수 없을 터인데, 여전히 침묵하는 지성들, 용기를 상실한 그것은 이미 지성도 무엇도 아니다.


비겁한 지성이란 성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땅에 진정한 의(義)를 바로 세우기 위하여 진정 용기가 필요한 때이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