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군에서 벌이고 있는 당진천 자연형 하천조성 사업이 거의 완성이 되어 마무리 단계에 이르렀다.
지난 2007년부터 시작하여 총 사업비 80억 원이 소요되고 있는 이 사업은 분수광장 오픈 등 준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 당진군 관계자는 사업이 완료되면 당진천은 서울의 청계천에 버금가는 자연친화적인 문화휴식공간으로 변신하게 될 것이라며, 이로써 도심경제가 활성화되고 더불어 당진이 환경친화적인 도시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런 당진천을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군의 자연형 하천 복원공사는 자연형 하천의 기본개념이 무시된 잘못된 설계라는 것이다. 한서대학교의 어느 교수가 하천의 기능과 생태하천 복원의 정의를 설명하며 지적하는 문제점은 이렇다. 당진천은 공원하천도 점용하천도 아닌 그냥 하수로에 자전거도로와 산책로를 만들어 놓은 것에 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하천제방에 여러 가지 콘크리트 구조물과 돌을 옹벽 쌓듯 높게 쌓아 자연미를 훼손하여 보는 사람에게 위압감과 혐오감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비좁은 하천제방의 상단과 저수호안에 홍수가 한 번 오면 없어질 야생화를 몇 억 원씩 들여서 조성하는 어리석음까지 연출하고 있다며 비판하고 있다.


물론 긍정적인 견해도 있다. 군에서 나름대로 고심한 흔적이 보인다며 아쉽기는 하지만 그만큼 하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다. 이러한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전문가는 당진천의 건천화와 좁은 폭을 이유로 든다.


신성대학의 어느 교수는, 당진천이 방재하천이었다가 그나마 자연형 정비하천으로 변모되어 다행이라며, 생태하천으로 복원하지 못한 것이 안타깝지만 단시간에 주민들의 접근성 향상이 기대되는 만큼 휴식공간으로는 각광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자체마다 하천 정비 사업이 다른 사업보다 우선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미 사업을 마친 곳도 있고, 한창 진행 중인 곳도 있다. 하천 정비사업은 오랫동안 오·폐수로 오염되었던 하천을 정비하여 생태계를 바로잡아 주민의 환경위생문제를 해결하고, 도시 미관을 바로잡고, 주민들의 운동과 휴식공간도 마련하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얻는 사업이다. 그러나 일부 지자체에서는 하천 정비에 실패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는 원리를 가볍게 생각한 결과라는 반성의 소리가 있다. 물길을 무리하게 돌린다든가 억지로 끌어올리려 해서는 안 되는 일이라는 것이다.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이른 당진천에서도 나중에 여사한 실패의 사례가 나오지 않도록 철저하고 정밀한 점검과 확인이 필요할 것이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