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는 라돈침대 사태

6월 27일 라돈침대 야정장의 방사능 수치를 측정하고 있는 원안위 관계자.
6월 27일 라돈침대 야정장의 방사능 수치를 측정하고 있는 원안위 관계자.

[당진신문 최효진 기자] 송악읍 고대리 346-1번지 고대동부항만부두 고철야적장.
이곳이 라돈이 검출된 대진침대가 들어 온 곳이다. 당진에 라돈침대가 처음 밀반입 된 것이 6월 16일이니 9월 24일은 반입 100일째가 되는 날이다. 24시간이 채 되기도 전에 들어온 물량은 추정 17,000장이다.

국무조정실, 원자력안전위원회 그리고 대진침대의 결정은 지난 100일 동안  당진 최대 이슈로 남아 있고 해결의 실마리조차 보이지 않는 당진의 라돈침대 밀반입 사태. 최근 대진침대 측이 당진에 적재된 침대만 제외하고 기존 미반입 물량을 해체하면서 당진 지역의 반발이 더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원안위 “라돈침대, 당진에서 해체 원칙 불변”, 본지 1222호) 추석 연휴를 맞아 라돈침대 당진 밀반입 사태를 시간 순으로 정리한다.


●6월 14일(목) - 동부항만 야적장 낙점
국무조정실, 원자력 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 평택지방해양수산청 그리고 대진침대 관계자들은 동부당진항만운영에 오후 3시 경부터 모여 회의를 시작했다. 사전에 매트리스 수집장소를 물색하고 동부당진항만운영(주)가 운영하는 고철 야적장을 낙점한 상태였다. 회의에서 매트리스 반입과 해체에 필요한 사항을 확인했다.

●6월 15일(금) - 당진시만 빠진 반입 계획

라돈침대에서 떨어져나와 야적장 바닥을 돌아다니고 있는 쪽지.
라돈침대에서 떨어져나와 야적장 바닥을 돌아다니고 있는 쪽지.

동부항만이 이 날 대진과 계약서를 작성하고 16일부터 두 달간 부지 대부계약을 맺었다.
 이 과정에서 정부의 공식적인 문서는 당진시를 패싱하고 평택지방해양수산청과 동부항만주식회사에게만 전달됐다. 당진시가 원안위가 라돈 침대 반입을 주도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한 것이 오후였다. 당진시가 전화를 통해 항의하자 원안위는 오후 5시 30분 경 당진시를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 당진시는 민원 발생 등을 우려하며 문제를 제기했지만 원안위는 라돈 메트리스의 안전한 관리만을 강조했을 뿐이다.

●6월 16일(토) - 라돈매트리스 반입 시작
우체국 택배 차량은 줄을 이어 야적장으로 몰려들었다. 국무조정실 등은 당진 주민들의 반대는 예상치 못하고 라돈 침대 사태가 마무리에 접어든 것처럼 언론을 이용했다. 원안위 측은 당일 오전 반입 현장에서 고대1리 주민들 중 일부에게 관련 사실을 고지하고 주민설명회를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참여한 인물은 거의 없다. 라돈 매트리스 당진 반입 사실이 순식간에 확산됐고 주민들은 16일(토) 저녁에 마을 긴급 총회를 실시했다.

●6월 17일(일) - 주민의 반대 그리고 사전 동의 없던 정부 비판
주민들이 고철 야적장의 입구에서 천막농성을 시작했다. 결국 당진으로 들어오지 못한 메트리스는 대진침대의 본사가 있는 천안으로 발길을 돌렸다. 이 날부터 언론의 주목을 더 크게 받았다. 중앙언론은 라돈 매트리스가 지역주민의 반대에 가로막혔다는 사실을 중심으로 보도를 시작했다. 당진신문은 국무조정실이나 원안위가 당진시는 물론 주민들에게 어떤 공식적인 사전 통보도 없이 강행한 것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오후 7시부터 송출했다. (관련기사:라돈 매트리스, 당진 반입 중단, 본지 1211호)

●6월 18일(월) - 대책위 회의
고대1리 주민들을 중심으로 농성이 지속됐다. 언론들 역시 줄을 이어 현장을 찾았다. 오후 2시 송악읍이장단협의회는 회의를 열고 ‘침대 전량 반출 입장’을 정리했다. 한편 이 날 가칭 당진시 라돈침대 범시민대책위(이하 당진라돈침대대책위)의 1차 회의가 열렸다.

●6월 19일(화) - 국무조정실장 공식 사과

홍남기 국무실장이 당진을 찾아 당진시와 주민들에게 절차 없이 들어 온 것에 대해 사과했다.
홍남기 국무실장이 당진을 찾아 당진시와 주민들에게 절차 없이 들어 온 것에 대해 사과했다.

홍남기 국무조정실장이 현장을 찾았다. 원안위 위원장도 함께 한 자리에서 홍 실장은 “당진시나 주민들과 사전 협의 없이 진행한 것”에 대해 사과했다. 하지만 당진현장 해체에 대한 미련은 버리지 않아 주민들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기도 했다. (관련기사: [라돈 매트리스 논란] 국무조정실장 사과에도 싸늘한 주민 분위기, 본지 1211호)

●6월 22일(금) - 당진에서 반출 합의서 작성
대진침대 본사에서 주민대표단, 대진침대, 국무조정실, 원안위, 당진시가 최종 이행협의서에 서명했다. (관련기사:몰래 반입된 라돈 침대, 결국 당진서 반출 결정, 본지 1211호) 6월 26일부터 7월 15일까지 타지역으로 이송하기로 했다. 주민들 역시 오후 6시 마을총회를 열고 이행협의서에 동의했다. 이 당시 지역민들은 중앙정부가 문서화된 약속을 깨버릴 줄 몰랐다.

●6월 25일(월) - 천안의 반대
천안 판정리 주민들이 침대 반입 집회 시작. 당진에서의 반출이 막혀 버렸다.

●7월 4일 - 원안위 당진해체 재요구
이행협약서 상의 반출 약속 기간이 도래하기도 전에 원안위는 천안사정을 호소하며 라돈 침대의 당진 해체를 다시 요구했다.

●7월 16일(월) - 반입 한 달...고대1리 당진해체 결정
고대1리 주민들이 마을총회를 열고 당진 해체를 결정했다. (관련기사: 당진 반입 라돈침대, 당진에서 해체한다. 본지 온라인판 1215호) 이 자리에는 국무조정실장까지 참여했지만 함께 싸웠던 한진 1·2리, 고대 2리(아래 3개 마을) 주민들이 배제됐다. 새로운 갈등의 시작이 만들어졌다.

●7월 23일(월)- 결국 마을간 갈등으로
고대1리를 제외한 인근 3개마을은 상록초 학부모회와 함께 라돈반입침대의 당진해체를 반대하며 농성을 시작했다. (관련기사: 해결 실마리 보이던 라돈 침대 사태 주민갈등으로 번지나, 본지 1215호) 집회로 문을 연 3개 마을과 상록초의 학부모들의 천막농성은 당진 반입 라돈 침대의 당진 해체에 대한 강력한 반발의 신호탄이었다. 

●7월 25일(수) ~ 현재 - 당진 학부모의 1인 시위와 집회 그리고 반복

당진터미널앞에서 열린 당진학부모들의 첫번째 집회모습(7월25일)
당진터미널앞에서 열린 당진학부모들의 첫번째 집회모습(7월25일)

고대동부항만부두 인근에 위치한 상록초 학부모들을 중심으로 당진터미널 앞에서 촛불집회를 시작했다. (관련기사: 당진 주민들, 라돈침대 해체 반대 움직임 커져, 본지 1216호) 지금까지 매주 금요일 터미널 광장 앞 집회가 계속되고 있다. 학부모들의 시청 앞 1인 시위 역시 계속되고 있다.

2018년의 여름은 여느 해보다 뜨거웠고, 당진의 라돈 침대로 인해 더위보다 더 큰 스트레스를 안고 더운 여름을 지나왔다. 과연 라돈 침대의 당진 밀반입 사태가 어떻게 해결될지 모두가 우려 속에 시간을 보내고 있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