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러기, 가창오리, 청둥오리, 종달새 등 114마리
올 해만 2차례… AI 키트 검사 음성, 독극물 의심

삽교천 인근의 우강 평야에서 새들이 떼죽음을 당했다. 현재(6일)까지 수거한 새떼는 114마리 정도이며 앞으로 더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

처음 사체가 발견된 곳은 우강면 창리의 논에서 기러기의 사체가 지난 5일 저녁 7시 경이며 주민들은 이 같은 사실을 우강면사무소에 알렸다. 기러기의 사체는 6일 오전부터 수거가 되기 시작했으며 기러기 44마리 정도가 발견돼 우강면사무소로 우선 이송했다.

하지만 최초 발견지의 인근인 성원리 논에서도 오리 떼 등의 사체가 또 다시 발견됐다. 새가 떼죽음을 당하자 당진시는 금강환경유역청의 환경감시원과 전국야생생물보호관리협회 당진시지회 등과 함께 새의 사체들을 수거했다.

6일 현재 발견된 죽은 새의 종류와 수는 기러기 44마리, 가창오리 66마리, 종달새 3마리, 청둥오리 1마리 등이다. 주민들은 새의 사체를 까치, 독수리, 황조롱이 등의 새들은 물론 너구리와 같은 육식동물들이 뜯어 먹어 죽게 되는 2차 피해까지 우려하고 있다. 삽교천에서 내수면 어업을 하고 있는 한 주민은 “사체를 뜯어 먹는 새들은 죽은 새의 먹이통부터 먹는다. 당연히 그 먹이에 독극물이 묻어 있다면 또 다른 새들이 죽게 될것이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이번 새떼의 죽음이 처음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미 2년 전 새들이 이와 같은 떼죽음을 당한 적이 있으며, 불과 20여일 전에는 600마리에서 700마리의 새가 이와 같은 떼죽음을 당한 적이 있다는 것이 주민들의 전언이다. 당진시는 당시 발견된 새의 사체들의 검사를 의뢰한 상태이며 그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지역 주민들은 새들이 누군가가 맹독성이 있는 농약을 묻힌 볍씨를 논에 뿌린 것을 먹고 죽음을 당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주민들은 이미 2년 전에도 새들의 먹이를 논에 뿌리는 것을 추적했다가 실패한 적이 있다는 점과 맹독성 농약이 묻은 것으로 추정되는 볍씨가 뿌려진 두 개의 논이 상당히 가까운 거리라는 점을 그 이유로 들고 있다.

당진시는 우선 AI 간이 키트를 사용해 현장에서 AI에 대해서는 음성임을 확인하고 새의 사체와 논에 뿌려진 볍씨 등을 수거해 국립환경과학원에 조사 의뢰를 하는 한편 당진경찰서에 수사를 의뢰하기로 했다. 또한 농업기술센터와의 업무협조를 통해 오염 볍씨가 뿌려진 해당 논을 갈아서 2차, 3차로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조치했다.

단발성으로 그치지 않고 계속되는 삽교천 인근 새들의 죽음에 대한 원인규명과 대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