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자체 ‘운영현황보고’에 경영부실 여실히 드러나
실적부진원인 분석 참담 “선원급여도 제때 지급 못해”

당진시, 적자 계속되는데 지난해에 혈세 4억원 투입
당진시의회는 전문경영인 부재 지적에도 출자 ‘승인’

▲ 지난 해 8월 31일 취항한 (주)해나루항만 5220마력 급 예인선 해나루 1·2호 <사진제공 충남도청>

당진의 대표시민기업으로 키우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시작한 ㈜해나루항만이 누적적자 23억에 달하는 동안 당진항만공사를 통해 혈세를 투입한 당진시는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당진항만공사가 4억이라는 혈세를 투입한 시점이 ㈜해나루항만의 적자가 지속되고 있는 시점이어서 당시 경영진의 부실한 운영에 대한 책임 역시 지적되고 있다.

지속된 적자 운영, 해법은 ‘희망사항?’
㈜해나루항만은 2014년 3월 법인을 설립하고 15년 시민주를 공모해 55억원의 자기자본을 확보했다. 16년에는 당진항만공사로부터 4억원의 출자금을 추가 확보해 59억원의 자본금을 가진 지역의 중견기업으로 성장했다. 해나루항만이 자본금면에서는 시민기업이라는 모토로 꾸준히 성장했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경영면에서 부실하게 운영됐다는 지적이다. 이는 지난 9월 7일 작성된 자체 ‘운영현황보고’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2017년 8월 기준 예선사업수입은 목표액이 13억4,514만원이었지만 실제 실적은 6억2,609만원에 그쳤다. 목표 대비 46%에 불과했다. 더욱이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당진화력(2017년), 현대제철(2018년), 동부제철(2018년) 하역 사업에 참여하게 된다면 많은 이익이 생길 것이라고 주주들을 안심시켰지만 지난 8월까지 매출은 고사하고, 하역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노력의 흔적도 찾을 수 없다.

이에 대해 지난 9월 취임한 해나루항만 신철석 대표는 “하역사업은 해나루항만이 참여하는 것은 지금 구조로는 불가능하다. 회사 경영이 정상으로 올라서야 생각해 볼 문제”라고 설명했다.

‘운영현황보고’에서 지적한 실적부진원인의 분석 내용은 참담하다. 예선사업의 경우 ▲일부에서만 시행되던 공동배선이 전체적으로 확장될 것으로 오판해 누적적자를 방치했으며 ▲공동배선 외 자유배선 예선시장의 영업실적은 거의 없으며 ▲현대제철 광탄선에 대한 시장진입에 실패한 점을 들었다. 즉 공동배선 제도에 대한 오판과 현대제철 광탄선 부두만 진입하면 회사가 정상적으로 운영될 것이라는 희망이 부실운영의 주요한 원인이라고 지적한 것이다. 이는 당시 경영진이 과연 항만 관련 사업에 전문성과 식견을 가졌는지 의심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운영현황보고서’는 앞서 언급한 하역사업에 대해서는 “시장분석 및 진입여부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 없이 사업계획에 반영했다”고 실토했다. 보는 시각에 따라서는 항만 관련 사업에 전문성이 없는 주주들을 대상으로 마이너스 실적과 자기자본 잠식에 대한 비판을 피하기 위한 꼼수라고 볼 수도 있다.

해나루항만은 당진호(2천톤급)와 해나루 1·2호(5천톤급) 등 3척의 예인선을 보유하고 있다. 예인선들은 최소 월 3,799만원(8월)에서 1억 885만원(5월)의 실적을 냈다. 이는 선원급여 등의 ‘운영비’, 은행이자와 같은 ‘고정비용’ 포함 최소 유지비 1억 4천만 원도 조달하지 못하는 실적이었다.

현 해나루항만 신철석 대표는 “대표를 맡게 된 상황에서 해나루항만은 적자가 23억에 달했고, 선원급여도 제때 지급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적자가 누적되다보니 은행권의 추가 대출도 불가능한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해나루항만이 그나마 적은 실적이라도 낼 수 있었던 ‘공동배선제’는 선사가 예선업체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없으며 입출항 순서와 선박의 크기에 맞게 각 항만별 예선조합지회에서 결정된 방법에 따라 예선서비스를 공급받는 방식이다. 즉 조합에 가입하기만 한다면 상대적으로 ‘땅 집고 헤엄치기’ 식으로 사업을 유지할 수 있다. 해나루항만이 비상대책위를 구성하고 차기 경영진이 구성된 이유 역시 ‘공동배선제’의 종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해나루항만이 공동배선에 참여하고 있는 주요 업체 중 ▲유코카캐리어스(자동차 해상운송업체)는 6월 30일 종료 ▲장금상선은 8월 31일 계약해지를 통보하고 10월 4일 공동배선을 하지 않기로 되어 있으며 ▲글로비스의 경우 올해 말에 공동배선 계약을 종료할 예정이다. 해나루항만이 실적을 낼 수 있는 방법은 자유배선제 하에서 선사를 상대로 한 영업만 남은 것이다. ‘자유배선제’는 선사가 예선의 선택권을 갖고 필요한 마력의 예선을 직접 선택하는 방식이다 보니 업체의 실력과 경영진의 영업력이 가장 중요하다. 이런 상황에서 예인 관련 전문성이 떨어졌던 기존 경영진이 자리를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시민혈세 투임, 당진시·시의회 책임은?
2016년 7월 당진항만관광공사(이하 항만공사)는 당진시의회에 ‘당진항만관광공사의 ㈜해나루항만 출자 동의안’을 제출했다. 당시 항만공사는 “2015년 9월 연구용역을 의뢰한 결과 해나루항만이 순현재가치(NPV)가 +43억원, 비용편익분석(B/C)은 1.08로 계산됐다”면서 지방공기업법 시행령에서 제한한 공사의 자기자본금 한도에 2,500만원이 부족한 4억원을 출자했다.

당시 당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의 회의록을 살펴보면 당시 항만공사 김성수 사장은 “공사 자립기반 강화와 당진항 발전 및 항만관련 사업의 지역사업화로 지역경제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 출자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과론적 판단이기는 하지만 당진시의 최고 항만관련 전문가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항만공사 측이 당시 부정확한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한 잘못된 수익 창출 모델을 제시하며 당진시의회를 설득한 것이다.  당시 참석한 시의원들 역시 대부분이 출자액 상향 방법이나 직접 투자를 하지 못한 아쉬움만을 언급하며 출자에 긍정적이었다. 오히려 보다 적극적으로 사업에 나서지 못한 것을 아쉬워할 정도로 항만공사 측의 설득에 넘어갔다. 다만 당시 안효권 시의원은 당진해운의 실패 사례를 지적하며 전문경영인의 부재를 언급했을 뿐이다.

㈜해나루항만은 당진시민의 4억원이라는 혈세가 들어간 사업체다. 신철석 대표에 따르면 해나루항만 취임 당시 23억의 누적 적자 이외에 운영자금 고갈, 선박건조대금 잔금 2억원으로 인한 선박압류절차가 진행 중인 상황이었다고 확인했다.

해나루항만이 비록 회생 방안을 찾아가고 있지만 그 동안 잘못된 판단을 한 항만공사를 비롯한 당진시와 이에 견제 역할을 하지 못한 당진시의회 역시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