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협회논단] 서영태 (사)전국지역신문협회 충남협회장

농림축산식품부 '귀농·귀촌 통계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귀농·귀촌 가구 수는 전년도보다 6.2% 증가한 32만9천368가구에 달했다. 귀농·귀촌 인구도 같은 기간 45만7천511명에서 48만6천638명으로 증가해 50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지난해 귀농 가구 중 충남을 선택한 경우가 1천374가구였다. 이제 귀농·귀촌 문제는 농촌 복지와 직결되고 갈수록 인구가 줄어드는 우리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는 사안이므로 정책 전반을 가다듬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이와 관련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29일 기술원 교육관에서 시·군 귀농·귀촌 담당자 3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2016년 귀농·귀촌 지원 사업 종합평가회’를 개최했다.

30일까지 1박 2일 일정으로 진행될 이번 종합평가회에서는 올해 처음 실시한 ‘도시청년 농업·농촌캠프’, 청년 농산업 창업 지원 등 귀농·귀촌 사업 추진 성과와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시·군 추진 성과 발표가 진행됐다.

또 내년 귀농·귀촌 정책 방향과 사업을 모색하고 내년부터 추진되는 농림축산식품부의 ‘귀농·귀촌 5개년 계획’ 설명과 발전 방안에 대한 토의도 이어졌다.

이번 평가회에서 제시된 의견과 제안사항, 우수사례 등을 바탕으로 귀농·귀촌인들에게 가장 필요한 정책을 찾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다.

현장에서 느끼는 귀농·귀촌인들의 문제는 무엇일까. 직접 만난 이들은 원주민과의 갈등을 극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한다.

반면에 원주민들은 귀농인들에게 너무 많은 특혜를 줘서 화가 난다는 주장도 한다. 고향을 지키며 평생 농사를 짓는 토박이들은 힘든데 귀농인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는 정책에 위화감을 느낀다는 것이다.

실제로 귀농인에게는 주택과 농지를 알선해주고 창업자금을 저금리로 융자해주는 정책이 있다. 지자체 별로 주택과 농지 매입비, 출산 장려금을 지원하고 영농기반시설비 등을 융자해주고 있지만 귀농인들은 이를 제대로 이용하기 어렵다는 항변도 한다.

이에 따라 농촌마을에 맞는 화합의 정책이 시행되는 토대를 마련해야 할 것 같다. 현실적으로 농촌은 더 많은 귀농인들을 받아 들여야 할 운명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충남연구원 '충남 자연마을 과소·고령 실태 분석' 자료에 따르면 충남지역의 한계마을은 2000년 366곳(3.3%)에서 2010년 1천251곳(11.2%)으로 증가했고,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전북지역 20가구 미만 과소화 마을은 전체의 20.1%인 1천27곳에 달한다.

실제로 70가구에 87명이 사는 충남 서천군 판교면 복대2리는 84세의 할아버지가 이장을 맡고 있고, 이 마을 70% 이상은 70세 이상이 노인이다.

이에 농촌이 미래를 열어가려면 젊은 귀농인들이 빨리 유입되도록 당국이 정책을 더 현실적으로 만들고 토박이 주민들에게도 협력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