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만나 본 사람> 당진시장 번영회장 김진호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들이 골목상권에까지 진출하여 전국에 산재한 388개 재래시장이 더 이상 버티지 못한 채 사리지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서민경제를 되살리자는 취지에서 ‘전통시장지원 특별법’을 제정하고 지난 10년 동안에 보통 1개 시장 당 80억 원에서 150억 원씩 정부 지원을 받아 2조원이라는 엄청난 재정이 투입되었습니다. 물론 전통시장이 대형마트와의 경쟁에서 성공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렇지만 전통시장의 상권을 살려 시민경제를 되살리겠다는 당초의 취지에 부합되는 사업을 추진해야 될 일입니다. 그런데 당진시장 상인회에서 추진하고 있는 전통시장 현대화사업은 이런 취지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기존상인들에게 무상으로 점포를 나눠주고 분양 후에는 자기 권리에 대한 보상을 받고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는 감언이설로 동의서에 서명을 받았습니다. 상인들은 상권이 살아나서 장사가 잘 될 수 있는 방안에서 전통시장 현대화사업이 추진되길 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상가건물에 고층 주상복합을 건설하겠다는 구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는 전통재래시장을 없애고 대형마트와 똑같은 상점가를 만들겠다는 것입니다. 고층 주상복합건물은 상인들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사업입니다. 결과적으로 사업자들에게만 이득이 되돌아가는 일입니다. 세상에 공짜가 어디 있습니까? 주상복합건물이 제대로 분양이 되지 않을 경우 누가 책임을 집니까? 그리고 전통시장에서 50년간 장사를 해온 상인들이 현대식 상점가에서 어떻게 장사를 할 수 있습니까?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은 현재 당진시장에서 장사를 하는 상인들이 주체가 되어야 합니다. 이들의 생계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는 방안에서 사업이 추진되어야 합니다. 여기에 다른 사업을 추가한다는 너무 지나친 욕심입니다. ”라고 당진시장 상인회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얼마 전에 130억 원의 예산으로  2층으로 지어진 당진어시장이 개장되었습니다.
당초 상인들은 다른 지역의 활성화된 수산시장의 경우와 같이 1층에서는 활어를 판매하고 2층에서는 회를 먹을 수 있도록 회 센터가 조성돼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진시에서는 이를 무시하고 기존 상인들이 활어회 판매로 업종 전환을 희망하지 않는다며 회 센터시설을 할 수 없다고 상인들의 합의 없이 어시장을 건설하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지금 당진어시장의 30여 개의 점포 중 닭집과 분식집, 한복집, 방앗간, 과일가게, 제수용품 판매 상점에 미용실까지 수산과 전혀 관계없는 업종까지 들어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2층을 어떻게 회센터를 조성할 수 있겠습니까? 그래서 공산품을 판매하는 상점들을 입점 시키겠다고 하니 어떤 소비자가 어시장에서 가서 공산품을 사겠습니까? 결국 당진 어시장은 상권을 살리지 못한 채 임대업이나 하는 건물주로 전락하게 된 것입니다.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도 당진 어시장의 실패가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 상인중심으로 상권을 살리는데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이런 노력 없이 건물만 크게 짓는다고 상인들에게 무슨 도움이 되겠습니까? 상인들은 상권이 되살아나서 장사가 잘 되어야 이득을 보는 것이 아닙니까? 이런 기본원칙을 무시하면 결국에는 실패하게 되는 법입니다.“라고 당진어시장의 실례를 들어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 추진에 신중을 기할 것을 주문하였다.

전통시장 활성화에 성공한 사례들도 많아
“많은 사람들은 전주 남부시장을 전통시장 활성화가 성공한 사례로 꼽고 있습니다. 호남 일대에서 가장 큰 규모이면서 5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전주 남부시장은 그 동안 대형마트의 진출로 장기간 침체국면을 겪어야 했습니다. 5,900평 규모, 400개의 점포가 자리 잡고 있고 2층은 물류창고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2층을 쇼핑몰을 할 수 있도록 청년들에게 내주자는 제안이 들어 왔습니다. 처음에는 많은 사람들이 의아하게 여겼지만 이곳에 청소년 쇼핑몰이외 노천카페부터 칵테일바, 각종 액세서리 가게, 보드 게임방까지 일반 전통시장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하고 참신한 업종들이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그 후 4년이 지난 지금 남부시장의 대표 명물이 된 야시장과 이를 뒷받침하는 콘텐츠가 정착되어 하루 평균 1만2,000명이 방문하고 매출도 과거에 비해 20% 정도 상승하였습니다. 특히 젊은 층의 방문 수가 눈에 띄게 증가하여 전통시장으로서 성공사례가 되고 있습니다. 상권을 되살리는 일은 소비자들의 취향을 읽고 이를 상품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준비하는 것입니다. 단순하게 건물을 크게 짓는다고 해서 상권은 살아날 수 없고 장사로 수익을 창출해야 되는 상인들도 생활을 유지하여 나갈 수 없습니다. 결국 소비자들을 사로잡을 수 있는 묘안을 찾아내고 이를 통하여 상권을 살려 낼 때 전통시장은 활성화 될 수 있습니다. 너무 무리해서 건물을 크게 짓는다고 누구에게 도움이 되겠습니까? 상권을 살려 장사가 잘 될 수 있는 묘안을 마련하여 장사가 잘 되는 시장이 되어야 합니다. 정부의 지원을 받지 않고 굳이 재개발을 통하여 건물소유를 상인들에게 주겠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일입니다. 세상에 공짜가 어디 있습니까? 모든 일에는 그만한 대가를 지불할 때 안정하게 거래가 이뤄지는 법입니다. ”라고 상권을 되살리는 일은 소비자를 사로잡을 수 있는 묘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소프트웨어를 강조하였다.

전통시장을 되살릴 수 있는 일은 현대식 건물에서만 찾을 것이 아니라 전통시장이란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맛과 정취, 향수에서 찾아야 한다. 소비자에게 값을 깎아주고 덤으로 주기도 하는 흥정에서 매력적인 인간의 냄새를 맡을 수 있다. 그리고 5일에 한 번씩 시장에서 이웃사람과 만나서 서로 애환을 나누던 인간적인 교류에서 지역문화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곳에서 인적 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런 매력적인 전통시장의 문화는 규격화된 대인서비스만을 고집하는 대형마트나 기업형 슈퍼마켓에서는 찾아낼 수 없는 고귀한 유산이다.
최근 전통시장이 시설현대화를 추진하면서 이런 전통적인 문화가 사라지고 있어 오히려 상권을 죽이는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는 경우도 많다. 당진시장 현대화 사업은 이런 전통시장의 특성을 그대로 살려 전통시장의 매력을 지역문화로 승화시켜 나가는  묘안을 발휘하여 상권을 살려 나가야 할 것이다.

“당진시장은 물가가 높고 상품의 질이 떨어진다는 말을 많을 듣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당진에서 쇼핑하기 보다는 서산으로 나갑니다. 그 이유는 당진에 도매물류센터가 없어서 전통시장의 상인들은 모든 물품을 서울에서 구입해서 장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마진폭이 낮기 때문에 상품의 질이 낮고 가격이 높은 것입니다. 때문에 당진시에 도매물류센터를 건립해준다면 상인들이 보다 싸게 물품을 구입하여 질 좋고 싸게 소비자들에게 판매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입니다. 이런 노력들은 하지 않고 현대식 건물을 거대하게 지어야 상인들이 살 수 있다고 하는 것은 감언이설에  불과합니다. 그래서 당진시장 상인회에서 주장하는 내용을 공개적으로 발표하고 이에 대한 토론을 통하여 전통시장의 활성화 방안이 무엇인지를 시장상인과 지역주민들이 결정하도록 합시다. ”라고 당진시장상인회의 전통시장 현대화 방안을 공개 토론할 것을 제의하였다.

“김홍장 당진시장은 주민자치제를 최고의 정책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도 주민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추진할 수 없다는 방침입니다. 따라서 당진시장상인회가 추진하고자 하는 전통시장 현대화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고 토론을 통하여 합리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합니다.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은 결국 시장에 종사하고 있는 상인들을 살리기 위한 사업이어야 합니다. 상인들을 위해서 상권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이 뒷받침되지 않고 현대식 건물만을 고집하는 것은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의 본래 취지에 어긋나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라고 상인중심으로 상권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을 추진할 것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우린 소탐대실(小貪大失)이라는 선인들의 교훈을 되새겨야 한다. 작은 것을 탐하다가 결국에는 큰 것을 잃게 된다는 것은 우리들이 생활해 나가는 기본 도리라고 여겨진다. 당진시장 현대화 사업이 소탐대실하지 않도록 지혜로운 결정을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당진어시장에서와 같이 행정편의주의에 빠져 실패가 반복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런 노력 없이 당진시가 지속가능발전의 기틀을 마련될 수 없는 일이다. 당진시의 5년, 10년 후의 장래를 위해서 진지하게 토론하고 좋은 결실이 맺어주길 기원한다.  

환경전문기자 김종서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