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석 표 / (사)내포문화연구원장

▲ 석문면 초락도리 구석기시대 유물 산포지
「당진군 향토유적 보호조례 제14조(보존관리)」는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향토유적을 보존관리 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향토유적은 변경되지 않도록 보존 관리하여야 한다. 2.군수는 향토유적의 지정에 대한 안내판, 보호구역의 설정사항 및 보호구역내의 금지행위 등에 대한 경고판을 설치 하여야 한다. 3.안내판 및 경고판은 별지 제3호, 제4호 서식에 의한다. 4.향토유적의 주변 건축 및 토지이용에 대한 개발 계획 수립시 군수는 유적 보존문제를 사전 검토 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당진군은 대한민국 문화재 보호법, 문화재 보호법 시행령, 시행규칙, 충청남도 지방문화재 보호조례 동 시행규칙, 동 보호조례 등에 근거하여 「당진군 향토유적 보호조례」를 제정 공포하고 현재까지 문화유적을 보호하여 오고 있다.


그런데 현재 당진군 전지역의 변모하는 상태는 즉 상전벽해(桑田碧海)로 하루가 멀게 가속도적으로 급변하고 있다.
몇천년·몇백년전 농경시대의 모습은 시시각각으로 바뀌어 가히 지각변동이 급격히 일어나고 있다. 10여년전 100개도 안되었던 공장이 현재는 무려 961개에 이르고 있다.


필자는 지난해 7월 28일 부터 9월 1일까지 당진신문(당시 당진뉴스) 창간 제19주년 기념 특집으로 「당진의 문화유산 파괴하나? 보존하나?」란 제목으로 「시급히 보존하여야 할 문화유적 목록을 소개한다」는 부제(副題)를 달아 무려 149개소의 문화유적 목록을 제시하고 그 소재지의 지번(地番), 지목(地目), 필지(筆地)까지 상세하게 명시하여 그 내용을 소개한바 있다.


또한 문화유산 보존에 대한 행정당국과 군민의 관심과 경각심을 환기시키고자 「21세기는 문화의 세기, 당진군수! 당진군민! 문화군수! 문화군민인가?」라는 중제목도 큰 활자로 제시한바 있었다.

현재 당진군은 석문산업단지, 합덕산업단지, 송산산업단지, 환황해경제자유구역지정, 대덕·수청지구 개발, 부곡공단 등등 이루 헤아릴수 없는 각종 공장부지와 아파트대지 등으로 정말 수많은 문화유산(특히 문화유적)이 마구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당진군도 수만년전 부터 현재까지(구석기시대→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철기시대) 우리 선조들이 피땀 흘려 창조·건설한 귀중한 문화유적이 군내 각지에서 파괴되어 가고 있다. 파괴는 아주 용이하지만 그 보존과 복원은 몇십배 어렵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당진읍성은 1440년(세종 22년)에 축조하였고 면천읍성은 1439년에 쌓았었는데 그 당진읍성은 흔적조차 찾아볼수 없는 상태이다.
면천읍성은 상당부분 남아 있고 그 복원 10개년계획 까지 발표·착수하고 있으나 당진읍성은 아는 군민도 매우 적겠지만 아무 관심조차 없으며 더구나 복원 논의는 꿈도 꾸지 않는 현실이다.


필자는 10여년전 충청남도에서 내포(內浦)문화권 특정지역 10개년계획 접수 당시 행정 당국을 통하여 당진·면천읍성 복원 10개년 예산으로 우선 500억원씩 각각 충남도에 요구한바 있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실망스럽게도 면천읍성 복원 예산은 55억5466만7천원이 계상되었고 당진읍성 복원예산은 단 1원도 서 있지 않았다.


수만년전~수백년전 우리 선조들이 창조한 귀중한 문화유적이 365일 매일같이 파괴되어 가는 현상을 목격하고 있다.


지난 2월 1894년 동학혁명 당시 동학군 수만명이 관군(정부군) 수천명을 격파한 승전목(勝戰谷:면천면 사기소리)이 창고 건축허가(실제는 채석장) 되었다 하므로 그 역사적 중요성을 대서특필 하였었다.


이제 기축년 새해를 맞이하여 다시 한번 14만 당진군민과 당진군 행정 당국·의회에 대하여 만시지탄(晩時之歎))이지만 깊은 관심과 사고의 전환을 촉구하면서 다음과 같은 당진군 문화유적 100개소의 보존을 재삼 강조하는 바이다.

반드시 보존해야할 문화유적 100개소

1.당진읍

1)아후산성(衙後山城:당진읍 읍내리)
당진군청 뒤 야산(동·서·북쪽) 구 경찰서 뒷산, 북문밖까지 모두 연결된 1500여년전 백제시대 산성으로 지난 1979. 3. 31 충남대 윤무병 박물관장 초청 현장 고증 확인

2)읍내리 고인돌(지석묘:당진읍 읍내리) 당진군청 뒷산 소재 청동기시대(서기전 10세기경~서기전 400년경)족장의 무덤으로 변형식 고인돌(1979. 3. 31 충남대 윤무병 교수:전 국립중앙박물관 부관장 현장 고증:1972년 4월 필자 발견)

3)당진읍성(읍내리 산21-1 임야 외 25필지) 세종 22년(1440년)에 축조한 행정적기능과 군사적 기능 겸비한 읍성. 둘레 914.5m, 높이 2.4m, 성문 3개소, 옹성시설, 여장(女墻) 468개, 우물 2개소, 성내에 동문리, 서문리, 남문리, 복문리 등 행정구역이 있었고 주민들이 성안에 거주했었다. 해미읍성 처럼 5~10개년 복원계획에 의해 복원해야 함

4)태성(台城:우두산성-우두리 태성마을) 거북산 919-2 임야 외 6필지 정상부 소재, 백제시대 토성 추정, 1979년 4월 필자가 발견, 성곽 명칭 명명. 둘레 약 320m, 높이(밖) 약 7m, 누차 현지 답사

5)가성(加城)산성(우두리 가성산 135-2 임야 외 9필지)
테뫼식 산성, 둘레 438m, 높이 약 1.5~1.8m, 성벽 상부폭 약 1.5m

6)사근사터(구룡리 산 98 임야 외 6필)

7)사기소리 요지(窯地:사기소리 254 답 외 7필 조선시대 가마터)

8)사기소리 고분군(古墳群:사기소리 안 사기소 산 32-2 임야 외 26필) 고려시대 고분 추정

9)수청리 고분군(수청리 산 60-1 임야 외 12필) 장방형 석축분

10)입한재(당진읍 원당리 144 대지 외 7필)
조선 중기 대학자·시인·문장가 구봉 송익필(1534~1599)선생 사당으로 위에 묘소와 묘비(우암 송시열 지음)가 있다.
조속히 진입로 확장, 주차장 시설, 입한재 중건 등 당진의 자랑스런 인물로 추앙·선양 기념사업 전개 요망

11)탑동 석탑·석등·불상 부재물(附材物:당진읍 채운리(탑동) 466-3 전 외 10필)

12)당진 북창터(당진읍 우두리 태성마을)

13)채운포 석교명(石橋銘:채운2리 512 탑동고개)
1688년(조선 숙종 14) 또는 1689년 세운 채운교 돌다리 시설 기념비

14)당진향교(읍내리 향교골) 조선 태종 1년 개창 추정

2. 합덕읍

1)합덕제(성동리 532 답 외 98필)
합덕지(池), 합덕제언(堤堰), 연호, 연제, 연지, 하호, 합덕방죽 등으로 호칭.
1995년 「합덕방죽에 대한 종합적 고찰」이란 논문 발표(국내 최초로 합덕농민운동-실제는 합덕민란-내용 발굴 홍보) 당시. 조속한 연호의 복원 주장 이후 10여년 지난 2008년 복원 위한 기구 발족 환영

2)동구재(東丘城: 합덕리 창말 뒷산 꽃동산)
성터로 동굿재, 등굿재 등으로 불러옴. 필자는 그간 소들성(牛坪城)으로 명명해 오다가 고일산(高一山)씨의 증언에 의해 성 이름을 확인함

3)성동리산성(테뫼산성 : 성동리 테미산)
백제시대 산성. 둘레 473m, 높이 2~5m 내외

4)성동산성(도곡리와 소소리 경계 둔군봉)
합덕산업단지 개발로 파괴 우려

5)테뫼산성(당산성 : 소소리산성-소소리 회티 북쪽산 76 임야 외 7필지와 순성면 본리 경계 테미산 정상부)
테뫼식 산성으로 당진군 성터 중 가장 완연한 모습

6)독포(獨浦: 독개) 나루터(신흥리 352-206 천(千) 외 3필지)
삽교천 건너 아산시 궁평장터 왕래 나루터

7)신리성지(신리 63-4 답 외 3)

8)구합덕 성당(합덕리 275)

9)합덕리 고인돌(지석묘 : 합덕리 산 14 임야 외 14필지)
모두 3기의 남방식 지석묘

3. 고대면

1)막무덤(대촌2리 구억말)
백제독립(부흥)운동 당시인 663년 8월 27일~28일(음) 웅포앞 백강(백촌강) 해전 당시 백제 독립군·일본구원군 1만여 명 대부분 전사자 묘소(박성흥 학설)

2)당진포 해창터(당진포2리 305 이재득 소유 밭 등 부근 일대)

3)용샘(곰쇠샘 : 당진포3리 559-2 전 외 2필지)

4)개정(蓋井: 대촌2리 안개물 소재)
당진군 최대 천연우물, 수량(水量) 최대

5)영랑사(진관리 259) 부도 1기

6)성당사(진관리 1275)

7)회화 나무 1(진관리 239-1)

8)회화 나무 2(진관리 230)

9)모감주 나무(항곡리 504 문기용씨댁 앞)

10)성산리산성(성산리·통정리 경계 테미산 위)

11)당진포진성(鎭城: 당진포리 산 64-3 해창 성재산 위)

12)고산사 터(당진포리 산 184 절안마을)
고산사 부도 보존

13)속사리 토성(성산1리 속사리)

14)국사봉산성(정미 봉생리와 항곡리 경계 국사봉)

15)옥현리성(정미 천의리와 옥현리 경계 성고개)
필자 명명

4. 석문면

1)소난지도 의병총(난지도 2리 소난지도 소재)
내용생략

2)초락도 해운암터(초락도리 절께)
초락도 기도원 느티나무, 불당 터 건재

3)보덕사(삼화리 226-27)

4)구석기 유물 산포지(散布地: 초락도리 산 72-1 임야 외 8필지)
1997년 한남대 유물조사시 타제 석기 확인

5)웅포성(곰개성 : 삼봉리 차돌배기 산 55 임야 외 41필지)
옛 맹곶목장 목장성으로 추정(필자)

6)초락도 패총(초락도리 아침매기 옛 해변)
이융조 교수, 고 김원용 교수 초청 고증

<다음호에 계속>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