社稷之臣(사직지신) - 사직(왕조)을 지탱할 만한 신하

사직의 社(사)란 토지의 신을 말하며, 稷(직)은 오곡의 신을 말하는 것으로 옛날 농경사회의 백성은 땅과 곡식이 없으면 살 수 없으므로 사직은 풍흉과 국가의 운명을 관장한다고 믿어 나라를 창건한 자는 제일 먼저 왕가의 선조를 받드는 宗廟(종묘)와 더불어 사직단을 지어서 백성을 위하여 사직에게 복을 비는 제사를 지냈다.


社(사)는 본래 중국에서 일정한 지역의 혈족집단이 지낸 중심 제사의 대상인 것으로 보이나, 혈연사회가 붕괴하면서 토지 신·농업신으로 받들고, 여기에 곡물신인 稷(직)을 합하여 사직이라 하였다.
중국 戰國時代(전국시대) 이후 天(천)·地(지)·人(인) 사상이 생기면서 사와 직은 하나로 합하여 토지·곡물을 관장하는 地神(지신)으로 받들어 이로부터 天子(천자)가 주재하는 국가적 제사가 되었다.


사직을 받드는 제사는 고구려 고국양왕 때 처음으로 우리 나라에 들어와 391년에 國社(국사)를 지었다는 기록이 있고, 신라에서는 783년(선덕왕4)에 처음으로 사직단을 세웠으며, 고려는 991년(성종10)에 사직단을 세워 사직에 제사하였다.


조선의 태조는 개국하여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1395년(태조4) 경복궁·종묘와 더불어 가장 먼저 사직단을 건립하여 국가의 정신적인 지주로 삼았다.
나라가 망하면 종묘 사직이 없어지므로 조선시대에도 나라가 망한다는 것을 종묘 사직이 망한다는 말로 비유할 만큼 종묘와 사직은 국가의 가장 중요한 존재가 되었다.


사직의 제례로는 仲春(중춘)·仲秋(중추)·臘日(납일)의 大享祀(대향사)와 정월의 祈穀齊(기곡제), 가뭄 때의 祈雨祭(기우제)가 있었는데 대향사 때는 국가와 민생의 안정을 기원하였다.
<자료제공 : 장원한자 당진지점 문의 ☎ 358-0979>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