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 안전관리위원회 개최..충남도내서 서산시 다음으로 사고 많아
“당진시, 화학물질 관리 통제 인원 필요..화학사고 전담부서도 배치 해야”

2014년부터 2022년 2월까지 당진시에서는 누출 9건, 화재 1건 등 총 10건의 화학물질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당진시청 제공
2014년부터 2022년 2월까지 당진시에서는 누출 9건, 화재 1건 등 총 10건의 화학물질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당진시청 제공

[당진신문=이혜진 기자] 2014년부터 2022년 2월까지 당진시에서는 누출 9건, 화재 1건 등 총 10건의 화학물질 사고가 발생했다. 

이는 동기간 충남도에서 발생한 확학 물질 사고 57건 가운데 17.5%를 차지하며, 15개 시·군 중 서산시(11건) 다음으로 많이 발생한 지역이다.

당진시에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공장은 총 89개소로 타 지역의 비해 화학물질 배출량과 이동량이 많은 공장이 곳곳에 분포해 있다. 이에 당진시는 화학사고 발생 저감, 사고 예방 대책과 사고 대응 및 복구지원에 대한 계획 수립을 위한 화학사고 대응계획 수립 용역을 착수했다. 

그리고 지난 6월 30일 당진시청 상록수홀에서 안전관리위원 및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 화학사고 대응계획 수립 용역 착수에 따른 과업 내용 설명 및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화학물질 안전관리위윈회 회의를 실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피해의 최소화 및 선제적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한 화학사고 대응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와 이와 관련한 의견 수렴 및 토의가 진행됐다.

화학사고 대응 계획 수립 용역은 6월 30일부터 12월 17일까지 진행되며, 용역사는 △지역의 특성 △화학물질 현황 및 전망 △화학물질 안전관리 실태조사 등을 분석해, △화학사고 예방 역량 강화 △화학물질 사고 대응 및 복구지원 △당진시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 등의 개선안을 제시했다.

보고회 자료에 따르면, 당진시에서 화학물질 배출량이 높은 업체는 △(주)알테크노메탈 △현대제철(주)당진제철소 △한국동서발전(주)당진화력본부 순이며, 화학물질 이동량이 높은 업체는 △현대제철(주)당진제철소 △(주)알테크노메탈 △(주)SIMPAC 당진공장 등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1급 발암물질(IARC1)을 배출하는 업체는 총 9곳으로 현대제철(주)당진제철소가 1년에 4800kg로 가장 많은 양의 화학 물질을 배출했다. 2급 발암물질(IARC2B)를 배출하는 업체는 총 11곳이며, 유독물질을 배출하는 업체는 총 43곳이다.

이에 △석문국가산업단지 △송산일반산업단지 △송산2일반산업단지 △합덕의약일반산업단지 △합덕일반산업단지 △합덕·순성 테크노폴리스를 화학사고 적용 범위 및 관리위험구역으로 설정한 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화학사고 예방 관리계획을 1년마다 위험 지역 주민들에게 고지해야 함과 화학사고 예방 역량 강화 방안으로 화학사고 안전교육, 화학사고에 대비한 훈련 등을을 방안으로 제시했다. 

또한 화학물질 사고 대응 및 복구 지원을 위해 유해화학물질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을 당진의 특성에 맞게 개선할 예정이며, 유관기관들의 협조를 제안했다. 

화학물질안전원 윤준현 과장은 “화학사고 발생시 지방정부가 해야 할 역할은 사고 발생 후속 조치 부분”이라며 “주민들에게 어떻게 알리고 어떻게 안심을 시킬지에 대한 부분에 초첨을 맞춰서 지방 정부의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을 해주었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후속 조치는 많은 결정이 필요한 부분인데 담당하는 공무원이 무엇을 해야 할지 정확하게 모르는 경우가 많다”며 “매뉴얼에 정확한 역할 뿐만 아니라 담당하는 공무원의 결정에 대한 훈련과 역량을 강화 방안 등도 포함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당진환경운동연합 김정진 사무국장은 “당진시 화학물질 취급시설은 주로 해상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며 “해상 사고 발생 시, 대응 요령이나 조치 등에 대한 내용도 담아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일상적으로 화학물질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등의 정기적인 점검을 할 수 있는 인원이 필요하고, 화학사고를 전담할 수 있는 부서를 배치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회의를 주재한 윤동현 부시장은 “화학사고 발생 시 초기에 원인 물질이 파악 안 되는 등의 기초적인 문제가 많다”며 “화학 물질 사업자 현황과 유통 경로 등을 파악하여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계획이 수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우리 시에 맞는 내실 있는 결과물이 도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