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 20~30여명이 사회로...보호작업장 정원은 60명에 불과
“나머지는 대기...가정에서 힘든 시간을 보내야 하는 것이 현실”

[당진신문=배길령 기자] 당진의 발달장애인은 총 820여명. 장애등급을 받지 않아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인원까지 포함하면 1000여명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당진시에는 발달장애인이 근로할 수 있는 보호작업장이 해나루보호작업장, 민들레 일터 2곳이 있다. 보호 작업장은 사회생활을 나서는 이들의 사회적응훈련과 직업재활, 근로활동을 돕기 위해 마련된 일터다. 하지만 정원이 각각 30명으로 총 60명만이 훈련생 또는 근로자로 일하고 있다.

발달장애인은 신체장애가 동반되는 뇌병변 장애, 사회성이 부족한 자폐성 장애, 지능이 어린 아이에 머무른 지적 장애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항상 보호자의 보호가 필요하다. 보통 이들은  아동청소년기에 집에서 또는 학생으로 주간보호센터나 학교에서 보호를 받고 생활을 하지만 성인이 되면 사회로 나가야 한다. 

보호 작업장에서 숙달되거나 사회생활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경증장애인이 근로자로 일할 수 있는 곳은 보호 작업장의 다음단계에 해당하는 표준 사업장이다. 현재 당진에는 표준작업장이 4곳이 있다.

한숙자 당진장애인학부모회장은 “실질적으로 현재 당진에서 한번 보호 작업장에 들어가면 붙박이가 될 수밖에 없다. 보호 작업장에서 어느 정도 숙달됐다고 해도 다른 곳으로 취업을 나갔다가 적응을 못해 다시 돌아오면 고스란히 대기인원이 되기 때문”이라며 “대기인원의 문제를 해결코자 두 곳의 보호 작업장에 일정기간을 두고 대기인원과 로테이션을 돌더라도 마찬가지다. 그동안 다른 아이들은 또 가정에서 힘든 시간을 보내야 하는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졸업하면 부모 책임 되는 장애 학생들
올해 열아홉이 되는 발달장애 아이를 둔 방인희 씨는 속절없이 다가오는 딸의 졸업이 걱정이다. 아직 1년이라는 유예기간은 있지만 1년 후에는 어머니 인희 씨의 걱정을 덜 수 있을까. 이렇듯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게 하는 ‘졸업’이라는 단어는 장애 아이를 둔 장애인학부모회 어머니들에게는 다른 의미다.  

방인희 씨는 “아이가 졸업하면 그때부터는 아이를 돌보고 하루 종일같이 생활해야만 하는 건 오롯이 부모의 몫이 된다. 졸업하면 꼼짝없이 집에만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라며 “당진에는 해나루보호작업장과 민들레일터가 성인이 된 아이들의 직업재활시설로 유일한 곳인데 수용인원이 최대 30명에 불과해 대기하는 인원이 많다”고 설명했다.

특수학교가 없는 당진은 현재 고등학교별 특수학급이 운영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23명의 학생이 졸업을 했고, 올해는 14명의 학생이 졸업했다. 인근 서산의 특수학교를 졸업한 아이들까지 포함하면 한해 20~30여명이 성인이 되어 사회로 나오게 되지만 이들의 재활과 취업을 맡을 작업장은 턱없이 부족하다.

“끝까지 책임져야지 굳게 마음먹으며 살아왔어도 한 번씩 한계가 찾아올 때가 있어요. 오로지 부모가 나서서 시설이나 프로그램을 찾아나서야 하고.. 우리 엄마들보다 사회에서 더 오래 남을 아이들인데 국가가 나서서 우리 아이들의 자립을 고민하고 도와주지 못하면 정말 힘듭니다. 보호 작업장이나 주간활동서비스가 더 많이 필요한 건 그만큼 우리가 절실하기 때문입니다” (중증 장애인 아들을 둔 어머니, 김남숙 씨)  

해나루보호작업장과 민들레일터 외에 이들의 미래를 맡길 수 있는 곳은 주간활동서비스가 있다. 활동보조가 집을 방문해 활동에 도움을 주는 1차적인 서비스라면 주간활동서비스는 산책, 영화관, 카페, 식당, 목욕탕 이용하기, 악기, 요리 배우기 등등 일상생활에 발달장애인들이 전반적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교육하기 때문에 이들의 자립을 돕는 방법이다. 하지만 올해부터 전국적으로 평준화된 주간활동서비스는 아직 당진시에서 사업 공모도 하지 않았다.

한숙자 회장은 “주간활동서비스는 시 공모에 따라 기관선정, 국민연금공단의 심사와 발달지원센터의 심사, 전담인력의 배치와 이용자 발굴 등 절차와 과정을 거치면 사업 준비만으로 상반기가 훌쩍 간다”며 “이러는 기간을 줄여서 졸업하고도 집에서 엄마와 힘든 시간을 보내는 아이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시 차원에서 좀 더 학부모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조상연 의원은 “보호 작업장의 경우는 이익창출의 의미보다 보호의 의미가 강한 것이 사실이다. 근본적인 대안으로는 보호작업장과 표준작업장의 신설로 보호에서 표준으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는 것이지만 이익창출이 어렵고 한해 운영비도 만만치 않기 때문에 민간사업자가 뛰어들기 어려운 부분은 분명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서 당진시가 이들이 할 수 있는 직종에 대해서는 장애인 우선 고용 일자리를 시행해야한다”고 말했다.

올해 당진시는 전일제, 시간제, 복지일자리 등 장애인일자리에 대해 예산을 늘리고 85명의 인력을 모집하고 있다. 

당진시청 경로장애인과 관계자는 “장애인의 일자리 문제는 새로운 작업장을 만드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이다. 하지만 민간사업장에서 선뜻 나서지 않아 어려움이 크다. 추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쉽지많은 않은 것이 현실”이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